맨위로가기

뇨후루 하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뇨후루 씨족은 요나라 시대부터 기록이 전해지는 만주족 씨족으로, 명나라 시대에 현재의 음역으로 정착되었다. 이들은 중국 동북부 지역에 거주했으며, 청나라 시기에는 만주 제국 전역에 널리 분포했다. 1912년 중화민국 건국 이후 많은 만주족들이 중국 성씨를 사용하면서, 뇨후루는 '니우'와 '랑' 등의 성씨로 변환되기도 했다. 뇨후루 씨족 출신으로는 청나라의 주요 인물인 에이두, 에빌룬, 허선 등이 있으며, 여러 황족과 혼인 관계를 맺은 부마들을 배출하기도 했다.

2. 역사

뇨후루 씨족은 요나라 시기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오랜 역사를 가진 만주족 씨족이다. 초기에는 '딜리에'(敌烈)로 불렸으나 명나라 시대부터 '뇨후루'라는 이름이 사용되었다. 이들은 주로 창바이 산맥 일대와 쑹화 강, 무단 강 유역에 거주했다.

청나라 시대에 이르러 에이두와 같은 인물을 배출하며 크게 번성하였고,[1] 팔기 제도 내에서도 중요한 위치를 차지했다. 청나라 말기 중화민국이 건국된 이후에는 다른 만주족과 마찬가지로 한 글자 중국 성씨를 채택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뇨후루 씨족은 주로 '니우'(钮)와 '랑'(朗) 성씨를 사용했다. '랑' 성씨는 뇨후루의 만주어 어원인 'Niohe'(늑대)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3]

2. 1. 기원 및 초기 역사

뇨후루 씨족에 대한 기록은 요나라(907–1125) 시기까지 거슬러 올라가며, 당시에는 중국식 음역인 "딜리에" 씨족(敌烈氏)으로 알려졌다. 현재 사용되는 음역인 뇨후루는 명나라 시대에 등장했다. 뇨후루 씨족은 현재의 중국 동북부 지린성 창바이 산맥 지역과 쑹화 강, 무단 강 유역에 주로 거주했다.

씨족의 족보에 따르면, 이 광대한 씨족의 공통 조상은 청나라 역사 기록에 처음 등장하는 유명한 뇨후루 씨족 인물인 에이두의 6대손 소호지 바얀(경칭 ''수 궁'')으로 여겨진다.[1] 뇨후루 씨족은 만주 제국 전역에 널리 퍼져 있었으며, 팔기 제도 내 모든 기(旗)에 뇨후루 씨족 구성원이 포함되어 있었다.

청나라 말기, 특히 1912년 중화민국 건국 이후 많은 만주족이 자신들의 씨족 기원에 따라 한 글자 중국 성씨를 채택했다. 뇨후루 씨족은 주로 "니우"(钮)와 "랑"(朗)이라는 두 가지 성씨를 사용했는데, 이 성씨는 만주 지역 외에 현대 장시성에서도 발견된다. "랑" 성씨는 중국어로 "늑대"(狼)와 발음이 비슷한데, 이는 뇨후루의 만주어 어원인 "Niohe"가 "늑대"를 의미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3]

"니우"(钮) 성씨는 백가성에도 등장한다.

2. 2. 청나라 시대

뇨후루 씨족 구성원들이 자신들의 족보를 추적한 바에 따르면, 이 광대한 씨족의 공통 조상은 소호지 바얀(경칭 ''수 궁'')으로 거슬러 올라가는데, 그는 청나라 역사에 기록된 첫 번째 유명한 뇨후루 씨족 구성원인 에이두로부터 6대손이다.[1] 뇨후루 씨족은 청나라 시대에 만주 전역에 널리 분포했으며, 팔기 각각에는 뇨후루 씨족 구성원이 포함되어 있었다.

청나라 말기, 특히 1912년 중화민국 건국 이후 많은 만주족들이 씨족 기원을 바탕으로 한 글자 중국 성씨를 채택했다. 뇨후루 씨족은 만주 외에도 현대 장시성 등지에서 발견되는 "니우"(钮)와 "랑"(朗) 두 가지 성씨를 채택한 것으로 알려졌다. '랑' 성씨는 중국어로 "늑대"(狼)와 발음이 유사한데, 이는 뇨후루의 만주어 어근 "Niohe"가 "늑대"를 의미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3] 니우(钮) 성씨는 백가성 시에도 등장한다.

2. 3. 근현대

청나라 말기, 특히 1912년 중화민국 건국 이후 많은 만주족들은 씨족 기원을 바탕으로 한 한 글자 중국 성씨를 채택하기 시작했다. 뇨후루 씨족의 경우, 만주 외에도 현대 장시성 등지에서 "니우"(钮)와 "랑"(朗)이라는 두 가지 성씨를 사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중 '랑' 성씨는 중국어로 '늑대'(狼)와 발음이 비슷한데, 이는 뇨후루의 만주어 어원인 'Niohe'가 '늑대'를 의미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3] '니우'(钮) 성씨는 백가성에도 올라와 있다.

3. 주요 인물

뇨후루 하라 출신 인물들은 청나라 역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주요 인물들은 청나라 시대의 관리와 귀족, 황제와 혼인 관계를 맺은 부마, 그리고 황실의 후궁 및 왕자/공주의 배우자 등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상세한 내용은 아래 하위 문서를 참고한다.

3. 1. 청나라 시대 인물


  • 에이두(1562–1621): 만주 귀족이자 누르가치의 측근이었다.
  • * 다치(達啟): 에이두의 둘째 아들이다.
  • * 투르게이(圖爾格; 1594–1645): 에이두의 여덟째 아들로, 홍타이지 치세 동안 만주 군대의 장교로 활동했다.
  • * 에빌룬(?–1673): 에이두의 16번째 아들이며, 무쿠션의 소생이다. 강희제 시대 사대 보정대신 중 한 명으로 활동했다.
  • ** 네친(訥親; ?–1749): 에빌룬의 손자로, 건륭제 시대 만주 병부 관리였다.
  • ** 알링가(1670–1716): 에빌룬의 일곱 번째 아들로, 강희제 시대 조정 관리였다.
  • 허선(1750–1799): 건륭제 시대 말기의 악명 높은 관리로 알려져 있다.
  • * 펑선인데(丰绅殷德; 1775–1810): 허선의 첫째 아들이다.
  • 무크덴부(穆克登布; ?–1803): 효전성황후의 외할아버지이다.
  • * 이링(頤齡): 무크덴부의 아들로, 소주(蘇州)에서 정1품 무관인 주방장군(駐防將軍)을 지냈으며 삼등공(三等公)의 작위를 받았다.


'''부마'''

날짜부마배경공주
1608다치(達啟)에이두의 아들누르가치의 다섯째 딸 (1597–1613), 첩 기야무후트 기오로씨(嘉穆瑚覺羅氏) 정거(肫哲) 소생
1613에이두누르가치의 넷째 딸 무쿠션(穆庫什; 1595–1659), 첩 기야무후트 기오로씨(嘉穆瑚覺羅氏) 정거(肫哲) 소생
1621투르게이(圖爾格)에이두의 아들
1790펑선인데(丰绅殷德)허선의 아들고륜화효공주(固倫和孝公主; 1775–1823), 건륭제의 열 번째 딸, 돈비(惇妃 王氏) 소생
1863잘라풍아(扎拉豐阿; ?–1898)수희화석공주(壽禧和碩公主; 1842–1866), 도광제의 여덟 번째 딸, 통귀인(彤貴人 舒穆祿氏) 소생



'''황실 후궁'''



'''공주 및 왕자 비'''

  • '''적복진'''
  • * 홍타이지의 첫 번째 적복진 (1593–1612): 로보호이(洛博會; 1611–1617)의 어머니
  • * 윤례의 적복진
  • * 영종(永琮)의 두 번째 적복진: 면흔(綿忻; 1775–1777), 공주(1776년 출생), 면경(綿慶; 1779–1804)의 어머니
  • * 영린의 첫 번째 적복진 (?–1801): 면긍(綿恆; 1790), 둘째 아들(1793–1795), 둘째 딸(1796–1801)의 어머니
  • * 면개의 적복진: 이찬(奕纘; 1818–1821)의 어머니
  • * 이혁의 적복진 (?–1871)
  • '''측복진'''
  • * 윤비의 측복진: 부인(1738년 출생)과 홍첨(弘曕; 1747–1814)의 어머니
  • '''측실'''
  • * 누르하치의 측실: 탕고대(湯古代; 1585–1640)와 탑배(塔拜; 1589–1639)의 어머니
  • * 강희제의 측실: 황20녀(1708 – 1708 또는 1709)의 어머니
  • * 상녕의 측실: 여섯 번째 딸(1684–1712)의 어머니

3. 2. 부마

날짜부마배경공주
1608다치에이두의 둘째 아들누르가치의 다섯째 딸 (1597–1613), 첩(기야무후트 기오로 정거) 소생
에이두누르가치의 넷째 딸 (무쿠션; 1595–1659), 첩(기야무후트 기오로 정거) 소생
1621투르게이에이두의 여덟째 아들
1790펑선인데허선의 첫째 아들고륜 화효공주 (1775–1823), 건륭제의 열 번째 딸, 돈비 (왕씨) 소생
1863잘라풍아(扎拉豐阿; 1898년 사망)수희공주 (1842–1866), 도광제의 여덟 번째 딸, 통귀인 (슈무루) 소생


4. 갤러리

자안태후


주세페 카스틸리오네가 그린 효성헌황후의 조정 의상


효화예황후의 조정 의상


액비룬의 황실 초상화

참조

[1] 서적 Materials for a Genealogy of the Niohuru Clan: With Introductory Remarks on Manchu Onomastics https://books.google[...] Otto Harrassowitz Verlag
[2] 서적 Manchus: People of Asia Blackwell Publishers
[3] 서적 Manchus & Han: ethnic relations and political power in late Qing and early republican China, 1861-1928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2012-03-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